crossorigin="anonymous">

카테고리 없음

스트레스 지수 테스트

제이에스kim 2021. 10. 13. 12:50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트레스 지수 테스트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스트레스 관리가 잘 되고 있나요?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라고 하니 받지 않고 사는 것이 제일 좋겠지만,

아예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살아갈 수는 없다고 합니다.

 

어느 정도의 스트레스는 필요하다고도 하지만 과도한 스트레스는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

필히 꼭! 스트레스 지수 테스트를 해보고 알맞은 방법으로 관리를 하셔야 한다고 하는데요.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과 나의 스트레스 지수는 어느 정도인지,

또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어떤 관리방법이 있을지 같이 알아봅시다.

 

 

 

일상생활을 하다 보면 우리는 여러 스트레스에 노출이 되곤 합니다.

입시나 취업, 학업이나 대인관계 또는 사랑 등 그리고 이 외에도 크고 작은 요인들로 인해 스트레스가 유발되곤 하는데요.

 

스트레스는 성별과 연령에 관계없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또 시간이나 때를 가리지 않고 불쑥불쑥 올라오기도 합니다.

 

만일 제대로 된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지 못하고 속에 품고 응어리 진 채로 살아가게 된다면

스트레스가 계속해서 쌓이기 때문에 자신의 삶을 비난하는 등 감당하기 어려워 질 수 있다고 합니다.

 

 

 

먼저 3단계로 진행되는 스트레스 증상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① 반응기 (1단계)

-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이 처음 발견되는 시기이다.

잠깐의 스트레스적인 반응을 보였다가 금방 정상적인 모습으로 되돌아온다.

 

② 저항기 (2단계)

- 심박수가 증가하며 가슴통증을 느끼거나 두근거림, 수면장애, 어지러움, 주통 등 항진된 교감신경으로 인해 신체화 증상이 보인다.

 

③ 탈력기 (3단계)

- 혈압, 맥박이 떨어지고 기진맥진한 상태로 인해 무기력하고 우울한 것이 특징이다.

 

스트레스는 ↑ 총 3단계의 증상으로 진행이 된다고 합니다.

특히 이때 나타나는 우울감이 지속되면 우울증으로 발전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 치료를 받으셔야 해요.

 

 

 

 

자 이제 스트레스 지수 테스트에 대해 알려드릴건데요

아래의 문항에 "예"라고 대답한 경우 1점씩 부여가 되며, 19점 이상일 경우 누적된 스트레스로 인해서 몸이 활력을 잃은 상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외적 환경으로 인한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내적으로 만들어지는 스트레스도 심각한 상황이라고 하니, 스트레스가 심하실 경우 꼭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1.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한다.

2. 변비나 설사 등 배변활동이 어렵다.

3. 평소에 두통이나 긴장감을 느낄 때가 많은 편이다.

4. 아침에 일어나면 피곤함에 쉬고 싶거나 다시 자고 싶다.

5. 집중이 잘 되지 않는다.

6. 종종 몸이 떨리거나 현기증이 나면서 가슴이 두근 거린다.

7. 일로 인해서 정신적으로 탈진된 느낌이 든다.

8. 문제가 생기면 술을 먹거나 담배를 피우게 된다.

9. 현재의 문제나 앞으로 벌어질 문제에 대한 걱정이 많다.

10 나는 결점이 많고 장점은 거의 없는 거 같다.

11. 나의 상황을 누구에게도 잘 알리지 않는다.

12. 갑자기 한가한 시간이 주어지면 오히려 불안감이 생긴다.

13. 어려운 상황이 벌어지면 매우 당황스러워 한다.

14. 상대방의 이야기를 끝까지 듣지 못하고 중간에 말을 끊게 된다.

15. 누군가를 오해 기다리는 것이 짜증이 난다.

16. 평상시 고독감을 느끼고 애정과 관심을 받고 싶다.

17. 경쟁을 할 때는 악착같이 이겨야 한다.

18. 주변 사람들과 자주 의견 충돌이 많다.

19. 별로 잘나지 않은 사람이 잘난 척을 할 때는 화가 난다.

20.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해도 다른 사람들이 대답하지 않을 때

화가 난다.

21. 가게에서 종업원이 푸대접을 하거나 함부로 대할 때 화가 난다.

22. 다른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하기 위해 내가 원하는 것을

포기하기도 한다.

23. 하루 종일 남들과 일한다는 것은 상당한 긴장감을 준다.

24. 일 때문에 좌절감을 겪게 된다.

25. 스트레스가 생기면 무시하고 평소와 같이 행동하기가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