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9명은 비타민D가 부족하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비타민D 부족해지면 어떤 증상들이 나타나는지
비타민D 결핍 증상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비타민D ★
비타민D는 피부 세포에 있는
7-디히드로콜레스테롤이 햇빛 중의 자외선을 받아 형성됩니다.
특히 자외선은 파장이 긴 것부터 작은 순으로
UV-A, B, C로 나뉘는데 그 중 중간 영역인 UV-B(280-320nm)가
프로 비타민D를 비타민D로 전환시키는 과정에 필요합니다.
피부에서 합성된 비타민D는 혈액을 통해 간으로 이동해
식사 때 섭취한 비타민 D와 합쳐진 후,
간과 신장에서 산화되어 1,25-디히드록시 비타민D(활성 형)가 됩니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주중에는 출퇴근 시간을 제외하고
보통 사무실에 앉아 있기 때문에 햇볕을 쪼일 시간이 없습니다.
또한 외출할 때도 얼굴이나 손등에
자외선 차단제(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대부분이 UV-B를 차단하며, 좋은 것 UV-A까지 차단한다)를
바를 때가 많아 현대인에게 비타민D는 대부분 결핍되어 있습니다.
더구나 유리 창문을 통한 광선은 비타민D 생성에 유효하지 못합니다.
320nm이상의 파장이 긴 자외선은 유리창을
통과하지만 그보다 파장이 짧은 UV-B는 유리창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직장인이라 하더라도 비타민D 합성을 위해서는
매일매일 잠깐씩(10~20분) 밖에 나가서 일광을 쬐어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장시간의 자외선 노출은 오히려 피부 노화를 촉진하고
피부암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비타민D 결핍 증상 ★
1. 구루병, 골연화증, 골절
비타민D가 부족하면 장에서 칼슘 흡수, 신상에서 칼슘 재흡수가 감소하면서
뼈의 주요 구성 성분인 칼슘농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칼슘농도가 낮아질수록 부갑상선 호르몬의 작용으로
뼈를 파괴하는 골연화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뼈의 강도가 낮아지는 골연화증으로 결국 골절위험이 증가하게 되며
반대로 비타민D를 보충하면 골절위험이 감소하게 됩니다.
2. 근력저하, 근육병증
비타민D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근육세포를 성장시켜
근육의 기능을 최대화하며, 신경근육기능을 향상 시킨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근력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균형감각에 도움을 주어 낙상 위험을 감소시켜줍니다.
비타민D가 부족하면 근력약화, 근육위축, 근육병증 등이 생기며
심한 경우 이들 증상이 악화되면서 뼈에도 통증이 생기게 됩니다.
약 30세 때부터 뼈의 양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습니다.
여기에 비타민D가 부족하면 뼈 손실을 가속화시키고
골다공증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1930년경에 도입된 비타민 보강법은
구루병과 같은 비타민 결핍으로 인한 질환을 없애는데 도움이 됐습니다.
하지만 식사만으로는 비타민D 요구량을 채울 수는 없기 때문에
햇볕 쬐기와 보충제 섭취 등의 방법이 병행돼야 합니다.
3. 당뇨병
비타민D 혈중 농도가 낮은 사람은 당뇨병의 발병 위험이 높습니다.
비타민D가 부족한 당뇨병 환자들에게 12주간 칼슘과 비타민D 섭취에 대한
영양교육을 하여 비타민D 영양 상태를 좋게 한 결과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고 혈당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한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4. 고혈압 등 심혈관질환
비타민D는 혈관염증, 죽상경화와 혈전 생성을 억제하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질환의 발생이나 진행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비타민D 의 농도가 낮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부전증에 의한 사망과 심장돌연사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비타민D 가 부족하면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동반돼
골 손실이 일어날 수 도 있습니다.
비타민D 는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할 뿐 아니라
면역 작용을 조절해 감염이나 자가 면역성 질환 예방에도 도움을 줍니다.
그 외 비타민D 부족증상으로는
고혈압이나 심장병, 여러가지 종류의 암과 치매 발병률을
높이는 것을 알려져 있습니다.
6. 우울증
우울증이 비타민D 부족과 연관이 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아직 그 이유가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비타민D가 같은 뇌 부위에 작용을 하며
세로토닌과 같은 기분과 관련된 호르몬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비타민D 보충 ★
비타민D 는 음식, 종합비타민제, 모유 등을 통해 섭취할 수 있으며
피부가 햇빛에 노출될 때 합성으로 인해서 생성되기 때문에
햇빛 노출이 줄어드는 가을, 겨울철에는
비타민D 부족증상이 나타나기 수우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야외활동 일광욕
점심시간 등 낮 시간에 적절한 야외활동을 통해
일광욕을 하는 것이 비타민D 생성에 가장 많은 도움이 됩니다.
일주일에 2~3회씩 햇빛에 10~15분정도
얼굴 또는 팔과 다리를 노출하여 비타민D 의 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단, 한 부위를 20분이상 쬐더라도 비타민D 합성은 더는 증가하지 않으니
지나친 노출은 삼가해야 겠습니다.
2. 비타민D 보충제 섭취
햇빛을 충분히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비타민D 가 많이 함유된 비타민D 보충제를 섭취해야 합니다.
성인의 경우 비타민D 권장량은
400IU 로 정하고 있으나,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비교적 많다고 간주되는 성인(20세~49세)은
200IU 가 적당하며, 50세이상의 성인은
골다공증과 옥외 활동의 감소를 감안하여 400IU 가 적당합니다.
또한 태아와 모유 영양아의 성장에 필요한 칼슘을 원활히 공급하기 위하여
임신 수유부에게는 하루 200IU 를 추가로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영아의 경우 생후 9개월 동안 사용할 수 있는 비타민D 를 보유하고 태어나지만
비타민D 강화 조제분유를 먹이는 경우를 제외하고,
우유나 모유에는 비타민D 함유량이 많지 않으므로
모유영양아의 경우에는 9개월 이후부터는
규칙적으로 햇빛을 받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비타민D 많은 음식 섭취하기
피부가 망가질가봐 햇볕을 멀리 하는 사람은 건강을 위해
비타민D 가 풍부한 어패류, 유제품, 육류 등
동물성 식품의 섭취라도 해야합니다.
비타민D 많은 음식은 대표적으로
등푸른생선(정어리, 참치 등), 동물의 간, 달걀노른자 등에 많습니다.
참고로 기름과 함께 먹으면 흡수율이 높아집니다.
또한 10대 항암 식품인 버섯에는 비타민D 전구물질인 에르고스테롤이라는
물질이 있어 일광을 받으면 비타민D 로 합성되어
비타민D 를 섭취할 수 있습니다.
우유, 요구르트 등 유제품 섭취도 도움이 됩니다.
★ 주의사항 ★
비타민D 를 비타민제를 통해 섭취시
4000IU 이상의 비타민D 를 장기간 복용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으며
혈액의 칼슘 수치를 과도하게 높일 수 있습니다.
물론 비타민D 결핍을 치료하기 위해서
단기간동안 고용량을 복용하게 하기도 하지만
고용량의 비타민D 복용은 반드시 의사의 지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코로나가 시작된 작년부터 야외활동에 큰 제약이 생기면서
충분한 양의 햇빛을 보지 못하고 바쁜 일상에 치여
제대로 햇빛을 보기 어려운 학생, 직장인 등도
비타민D 부족증상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습니다.
'의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더나 백신 부작용 탈모 (0) | 2021.10.12 |
---|---|
요로결석 증상 (0) | 2021.10.03 |
공복혈당 정상수치 (0) | 2021.10.02 |
과민성대장증후군 증상 원인 (0) | 2021.10.02 |
내장지방 빼는 6가지 방법 (0) | 2021.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