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15~20% 의 사람들이 난독증으로 진단 받고 있다고 합니다.
약 70~80% 학생들이 독해 관련 장애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난독증 원인 증상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난독증 ◈
듣고 말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지만 문자를 판독하는 데에 이상이 있는 증세
난독증은 학습 장애의 유형 중 하나인 읽기 장애를 의미하며,
그 정의는 다양합니다.
좁은 의미로는 글에서 의미를 파악하는 독해력은 정상이지만
문자로 표기된 단어를 말소리로 바꾸는
해독 능력에 문제가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넓은 의미로는 독해력만이 아니라
해독 능력에도 문제가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난독증이 있으면 읽기 능력이 연령, 교육 수준, 지능에 비해
기대되는 수준보다 유의하게 낮습니다.
또한 이러한 증상이 작업이나 일상 생활을 현저하게 방해합니다.
대체로 정규 교육을 시작하는 학령에 처음으로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느 언어권에서나 난독증 환자가 생길 수 있지만,
비교적 발음체계가 복잡한 영어권에서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비슷한 단어가 적은 언어권 나라일수록 그 발병률이 낮습니다.
발달상의 문제로 인한 선천성 난독증과
사고 후 뇌 손상으로 인한 후천성 난독증 등 2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선천성 난독증을 가진 어린이는
정상적인 어린이들보다 말을 더디게 배우거나 발음상 문제가 나타나고,
숫자를 익히거나 단어를 맞추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글자를 거꾸로 적습니다.
간혹 색깔과 형태를 혼동하기도 합니다.
◈ 원인 ◈
난독증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관련이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란성 쌍생아의 경우 둘 모두 난독증일 확률이 약 70%에 달하며,
가족력에도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특히 발달 초기 뉴런(신경세포)의 이동과 연결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와 관련이 있습니다.
뇌 영상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난독증이 언어, 읽기와 관련된
좌뇌 영역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과 관련이 있다는 점이 확인됩니다.
특히 좌측 두정측두 영역, 측두후두 영역, 좌측 하부 전두이랑 등이
주로 난독증과 관련 있는 뇌 영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난독증이 있는 아동은 대부분 음운 인식 능력에 결함이 있습니다.
음운 인식 능력은 귀로 들은 소리의 내부적 구조를 파악하는 능력입니다.
이는 원활한 해독을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단어를 각각의 음절로 나누어 지각하고,
하부 단위인 음소까지 파악해야 합니다.
음소를 생략, 첨가, 대치하여 말소리를 변화시킬 수도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음운 인식 능력이 저하되면
소리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지 못하며,
그 결과 소리를 글자와 연결하는 데 어려움이 생깁니다.
◈ 증상 ◈
1. 학령 초기
① 아주 익숙한 단어 외에는 읽지 못합니다.
② 받침이 있는 단어는 읽지 못합니다.
③ 글자의 모양과 무관한 읽기 오류가 많습니다.
④ 음절 단어나 음운 변동이 있는 단어를 읽기 힘들어합니다.
⑤ 베껴 쓸 수는 있으나 받아쓰지는 못합니다.
⑥ 쓰는 속도가 느리며 쓴 글씨를 알아보기 어렵습니다.
⑦ 단어 속 자음, 모음의 순서를 헷갈립니다.
⑧ 혼자서 책을 읽거나 문제를 풀지 못합니다.
⑨ 내용을 읽어주면 잘 이해합니다.
2. 학령 후기
① 다음절이나 낯선 외래어를 읽을 때 생략이나 대치합니다.
② 소리 내서 읽는 것이 느리며 이를 힘들어합니다.
③ 날짜, 사람 이름, 전화번호를 외우는 것을 힘들어합니다.
④ 읽기 능력과 이해 능력이 부족합니다.
⑤ 조사, 접속사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합니다.
⑥ 철자법을 틀리고 작문 능력이 부족합니다.
⑦ 책 읽는 것을 싫어합니다.
3. 청소년기 및 성인기
① 읽기가 느리고 이를 힘겨워합니다.
② 소리 내어 읽어야만 내용을 이해합니다.
③ 자세하게 읽기보다 대충 읽는 경향이 있습니다.
④ 읽고 이해하는 능력과 작문하는 능력이 부족합니다.
⑤ 철자법 실수가 늦게까지 지속됩니다.
◈ 치료 ◈
신경학적 이상 징후가 없는지 확인하고,
학습능력 검사, 언어 능력 검사,
MRI, PET(양전자 방출 촬영술) 등의 방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치료는 음소 하나하나의 음가를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것에서 시작해
빨리 읽기나 빠른 이름 대기 훈련으로 점점 속도를 높여갑니다.
언어치료 외에 시각훈련, 청각훈련, 뉴로피드백 훈련 등
여러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난독증의 경과는 적절한 치료를 얼마나 일찍 받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기 전에
집중적인 치료 교육을 받은 난독증 환자는
상당한 호전을 보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를 받지 못한 경우
일생 동안 난독증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치료를 받지 못한 난독증 환자는 최종 학업 성취, 직업 수준이 낮으며
우울 등과 같은 기분 증상을 겪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난독증 환자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과 같은
주의력과 관련한 한 가지 이상의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예후가 나쁠 가능성이 큽니다.
'의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암 초기증상 (0) | 2021.09.18 |
---|---|
녹내장 초기 증상 (0) | 2021.09.16 |
마그네슘 부족 증상 (0) | 2021.09.16 |
달팽이관 어지럼증 원인 증상 (0) | 2021.09.16 |
눈떨림 원인 증상 해결방법 (0) | 2021.09.14 |